우금 (후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금은 조인의 부곡장으로 남군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238년 사마의의 공손연 정벌에 참여하여 후장군으로 승진했다. 촉한의 마대를 격파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사마씨의 경계심을 사 독살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의 죽음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논란이 있으며, 사마의가 "말 뒤에 소가 있다"는 예언 때문에 우금을 독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위의 후장군 - 비요
비요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로 조진의 명령을 받아 반란을 진압하고 장합과 함께 제갈량의 1차 북벌을 저지했으며 자세한 생애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갈량의 계략에 빠져 자결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 조위의 후장군 - 문빙
문빙은 후한 말 유표의 장수였으나 조조에게 귀순하여 위나라 장수가 되어 강하태수를 지냈고, 조비와 조예 시대에도 중용되어 오나라 방어에 공을 세워 사후 장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중국의 자살한 정치인 - 리리싼
리리산은 중국 공산당 초기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극좌적 모험주의 노선으로 몰락했고,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노동부장을 역임했으나 문화대혁명 때 숙청당한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이다. - 중국의 자살한 정치인 - 양기
양기는 후한 시대 순제, 충제, 질제, 환제 4대에 걸쳐 권력을 휘두른 권신으로, 여동생이 황후가 되면서 외척으로서 권력을 잡고 황제 옹립에 관여하며 횡포를 부렸으나, 환제에 의해 몰락하여 자결한 인물이다. - 조조 휘하의 장군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조조 휘하의 장군 - 사마의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가였던 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3대에 걸쳐 중용되며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우금 (후장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우금 (牛金) |
로마자 표기 | Niu Jin |
생년 | 미상 (208년 이전) |
몰년 | 미상 (238년 이후) |
자 | 미상 |
출신지 | 미상 |
관직 | |
주군 | 조조, 조비, 조예 |
최종 관직 | 후장군 (後將軍) |
임관 시기 | 238년 |
2. 생애
우금은 조인의 부장으로, 208년 강릉 전투에 참전하여 3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적을 공격하다 포위당했으나 조인의 도움으로 구출되었다. 231년에는 촉한 군대에 대한 반격에 참여하여 제갈량의 부대를 상대로 승리하고 기산까지 추격했다. 234년에는 마대를 크게 격파하여 수천 명의 적을 죽였다. 238년에는 사마의를 따라 공손연 정벌에 참여하여 후장군으로 승진했다.
하지만 훗날 우금의 업적은 사마씨들의 경계심을 샀고, 결국 독약을 마시고 자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의 죽음에 대한 정확한 이유와 사망 연도는 논란의 대상이다.[1][2]
2. 1. 조인의 부장 시절
조인의 부곡장으로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 208년 남군 전투 당시 주유가 강릉을 침공하자, 조인의 명령으로 주유 군대에 싸움을 걸었지만, 병력의 수가 부족하여 포위당했다. 조인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와서 우금은 자신이 거느린 군사들과 함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할 수 있었다.[3]2. 2. 후장군 승진 및 촉한 격퇴
청룡 3년(235년)에 쳐들어온 촉한의 마대를 상대로 1,000명 이상의 희생자를 내며 격퇴했다.[4] 경초 2년(238년)에는 호준과 함께 사마의의 지휘를 받아 공손연 토벌(요수 전투)에 참전했다.[4]훗날 우금의 업적은 사마씨들의 경계심을 샀고, 그는 결국 독약을 마시고 자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2. 3. 공손연 토벌
경초 2년(238년), 호준과 함께 사마의의 지휘를 받아 공손연 토벌에 참전했다(요수 전투).[4] 왕은의 『진서』에 따르면, 사마의의 우금 독살은 공손연 토벌 후라고 기록되어 있으며[10], 이를 바탕으로 추정했을 때 우금의 몰년은 239년 부근이다.2. 4. 죽음
경초 2년(238년), 호준 등과 함께 사마의의 지휘를 받아 공손연의 난을 진압했다. 이때 “소가 말을 대신한다”는 참언(讖言)이 있어, 사마의가 계책을 세워 독살했다는 말이 전해진다.[1] 다른 기록에는 우금이 사마씨 친척 중 한 명과 간통하여 "소의 해"에 독화살로 암살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 이 기록은 진 원제가 사마씨 가문에서 사생아를 낳았다고 기록된 위(魏)의 기록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손성의 『진양추』 및 『진서』에 따르면, 후에 사마의에 의해 독살된다. 과거, 표면에 "말의 뒤를 잇는 것은 소이다"라는 예언이 새겨진 "현석도"라는 석비가 있었다. 때문에 사마의는 우씨를 증오하여, 짐독이 들어간 술을 우금에게 마시게 하여 살해했다고 한다. 또한, 사마의의 증손 사마근의 비인 하후광희는, 우흠(牛欽|우흠중국어)[6]과 밀통하여, 동진의 초대 황제가 되는 사마예를 낳았다고 한다.[7]
『위서』는 사마예를 "우금의 아들이다"라고 하고, "초국의 하후씨는 우금과 간통하여, 사마예를 낳았다"라고 기록하고 있다.[9] 그러나, 우금이 사마의의 사후 25년 후가 되는 함녕 2년 (276년)에 태어난 사마예의 아버지라고는 생각하기 어렵고, 또한 『위서』는 남조와 적대하고 있던 북제가 편찬한 것이기 때문에, 진위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우금
208년, 조인의 부장으로서 남군 전투 때 등장하였다. 오의 장수 주유가 강릉(江陵)을 공격하였을 때 조인의 명으로 주유의 군대를 공격하였으나, 오히려 포위를 당하였다. 이에 조인이 용기분발하여 홀로 적진으로 뛰어들어가 우금을 구출하였다.[1]
그 후, 우금은 어디에서도 등장하지 않는다.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우금(牛金)은 조인의 부하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감녕을 강릉 전투에서 이릉까지 추격했지만, 주유가 이끄는 지원군에 포위되어 결국 패배했다. 우금은 이후 재집결하여 주유의 진영을 야습하려 했으나, 결국 다시 패하여 큰 손실을 입었다.[1]
참조
[1]
문서
[2]
문서
[3]
서적
三国志』巻9曹仁伝
[4]
서적
晋書』巻1宣帝紀
[5]
서적
晋書』巻31元夏侯太妃伝
[6]
Wikisource
『太平御覧』巻98皇王部二十三
[7]
Wikisource
『晋書』巻6元帝紀
[8]
Wikisource
『宋書』巻27符瑞志上
[9]
Wikisource
『魏書』巻96司馬叡伝
[10]
Wikisource
『太平御覧』巻761器物部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